본문 바로가기
정보성

건강검진 결과표,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2025년 11월 18일 기준 최신정보)

by 인포메코 2025. 11. 18.

"건강검진 결과표, 쉽게 읽는 법!"

건강검진을 받고 나면 두툼한 결과지를 받아들게 되지만, 전문의가 아닌 이상 용어와 수치들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단순히 ‘정상’과 ‘비정상’으로만 받아들이기보다, 각 항목이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건강 신호를 나타내는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11월 18일 기준으로, 가장 기본적인 건강검진 항목들을 중심으로 해석 방법을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1. 혈압 (Blood Pressure)

  • 정상 수치: 수축기 90~120mmHg / 이완기 60~80mmHg
  • 해석 팁: 혈압은 심장 건강의 기본 지표입니다. 수축기(위의 수치)가 140 이상이거나 이완기(아래 수치)가 90 이상이면 고혈압, 90/60 미만이면 저혈압 가능성을 의심해야 합니다. 일시적 스트레스나 카페인 섭취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복 측정이 중요합니다.

2. 공복혈당 (Fasting Blood Glucose)

  • 정상 수치: 70~99 mg/dL
  • 주의 단계: 100~125 mg/dL (공복혈당장애)
  • 해석 팁: 공복혈당이 126 이상일 경우 당뇨병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일 컨디션, 식사 시간 등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니 필요 시 추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3. 총콜레스테롤 / HDL / LDL / 중성지방

  • 총콜레스테롤: 200mg/dL 미만이 이상적
  • HDL(좋은 콜레스테롤): 60mg/dL 이상
  • LDL(나쁜 콜레스테롤): 100mg/dL 미만
  • 중성지방: 150mg/dL 미만
  • 해석 팁: HDL은 높을수록 좋고, LDL과 중성지방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이며, 평소 식습관과 운동 습관이 수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4. 간 기능 수치 (AST, ALT, γ-GTP)

  • AST / ALT: 각 40 U/L 이하가 정상
  • γ-GTP: 남성 60 이하 / 여성 40 이하
  • 해석 팁: 간세포 손상이나 음주, 약물 복용에 의해 높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치가 약간 높다고 무조건 질병으로 단정할 수는 없으며, 반복 검사와 병행 진단이 필요합니다.

5. 소변 검사 (단백뇨, 잠혈, 당뇨)

  • 단백뇨(Proteinuria): 음성(Negative)이 정상
  • 잠혈(Blood): 음성
  • 당(Sugar): 음성
  • 해석 팁: 잠혈이 양성이면 신장 문제나 요로계 염증, 결석 등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단백뇨 역시 신장 기능 저하의 신호일 수 있으며, 정확한 원인은 정밀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6. 혈색소 (Hemoglobin)

  • 정상 수치: 남성 13~17g/dL / 여성 12~16g/dL
  • 해석 팁: 빈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특히 여성에게서 자주 발견되며, 철분 부족이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탈수나 심폐기능 이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7. 흉부 X-ray (폐 기능 검사)

  • 결과 예시: 정상 / 비정상(결절, 폐렴, 음영 등)
  • 해석 팁: 기침이나 호흡 곤란 증상이 없어도 이상 소견이 나오는 경우가 있으니, 흉부 엑스레이에서 비정상 소견이 발견되었다면 전문의와의 상담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건강검진 결과를 받았을 때 유의할 점

  1. 정상이어도 안심 금물: 수치가 정상이라고 해도 증상이 있다면 병원을 방문하세요.
  2. 한 번의 결과에 의존하지 말기: 상황에 따라 수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복적이고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3. 결과지를 버리지 말고 보관하기: 다음 건강검진 시 비교 분석을 위해 꼭 보관하세요.
  4. 생활습관 개선 병행하기: 결과를 계기로 식습관, 운동, 수면 등 전반적인 건강 관리를 점검하세요.

마무리

건강검진 결과지는 단순한 숫자의 나열이 아니라, 우리 몸이 보내는 신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11월 18일 기준으로 가장 자주 등장하는 항목들을 중심으로 해석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건강은 조기에 관리할수록 효과가 크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다음 글에서는 보다 심화된 항목 해석(갑상선 기능, 간 초음파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