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8 기초대사량(BMR)·활동대사(TDEE) 이해하고 하루 적정 칼로리 계산하는 법 다이어트를 하든, 벌크업을 하든, 결국 핵심은 하나입니다. “나는 하루에 얼마나 먹어야 적당한가?”를 아는 것.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기초대사량(BMR)과 활동대사(TDEE)입니다.이 글에서는 2025년 11월 19일 기준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기초대사량과 활동대사를 이해하고, 스스로 하루 적정 섭취 칼로리를 계산하는 방법을 쉽게 정리해드립니다.1. 기초대사량(BMR)이란 무엇일까?기초대사량(Basal Metabolic Rate, BMR)은 숨을 쉬고, 심장이 뛰고, 체온을 유지하고, 가만히 누워만 있어도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량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하루 종일 아무것도 안 하고 누워만 있어도 쓰는 칼로리입니다.기초대사량은 다음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나이성별체중키근육.. 2025. 11. 20. 소변검사 해석법 – 단백뇨·잠혈 수치 정확히 읽기 건강검진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항목이 바로 소변검사입니다. 소변 속 단백질, 혈액, 포도당, 케톤 등의 존재 여부를 통해 신장 기능 이상, 요로계 질환, 대사질환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의미를 갖는 항목은 단백뇨와 잠혈(혈뇨)입니다.1. 단백뇨(Protein)란 무엇인가?정상적인 신장은 단백질이 소변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걸러주는 기능을 합니다. 따라서 소변에서 단백질이 검출된다는 것은 신장 필터의 손상 또는 스트레스를 의미합니다.정상 기준(2025년 기준): 음성(Negative)Trace(약양성): 일시적 현상일 수 있음1+: 경미한 단백뇨2+: 뚜렷한 단백뇨3+ 이상: 신장 질환 가능성 매우 높음단백뇨가 일시적으로 나올 수 있는 경우격렬한 운동 후고열·감염스트.. 2025. 11. 20. 혈중 지질 검사 해석법 – 총콜레스테롤·LDL·HDL·중성지방 건강검진에서 자주 보게 되는 콜레스테롤 수치는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LDL(나쁜 콜레스테롤), HDL(좋은 콜레스테롤), 중성지방(Triglyceride)은 각각 의미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2025년 11월 19일 기준 최신 건강검진 해석 기준에 맞춰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1. 총콜레스테롤(TC)의 의미총콜레스테롤은 LDL, HDL, 중성지방 등을 모두 포함한 전체 콜레스테롤량입니다. 다만, 단독으로는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반드시 LDL·HDL과 함께 해석해야 합니다.정상 기준(2025년 기준): 200 mg/dL 미만200~239 mg/dL : 경계 단계240 mg/dL 이상 : 고콜레스테롤혈증 .. 2025. 11. 19. 간수치(AST·ALT·γ-GTP) 높다고 나오면? 정확한 해석법 건강검진에서 가장 많이 보는 항목 중 하나가 AST, ALT, γ-GTP입니다. 세 수치는 모두 “간 상태”를 알려주는 지표이지만, 어떤 수치가 무엇을 의미하고 왜 상승하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2025년 11월 19일 기준 최신 간 기능 검사 해석 기준을 바탕으로, 간수치 해석법을 정리했습니다.1. AST·ALT는 무엇을 의미할까?AST(GOT)와 ALT(GPT)는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가 손상되면 혈액으로 흘러나오면서 수치가 상승합니다.정상 수치(2025년 기준)AST : 0~40 U/LALT : 0~40 U/L두 수치는 함께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ALT는 간에 더 특이적이기 때문에 ALT가 높으면 간 자체의 문제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2. γ-GTP(감마지.. 2025. 11. 19. 빈혈 검사(혈색소·헤마토크릿) 이렇게 해석하세요 건강검진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 중 하나가 혈색소(Hemoglobin)와 헤마토크릿(Hematocrit)입니다. 이 두 수치는 빈혈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이지만, 결과지를 받아들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11월 18일 기준 최신 기준에 따라 빈혈 검사 수치를 쉽게 해석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1. 혈색소(Hemoglobin)란?혈색소는 혈액 속에서 산소를 운반하는 단백질로, 이 수치가 낮아지면 산소 공급 능력이 떨어져 피로감·어지러움·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정상 수치(2025년 기준)남성: 13 ~ 17 g/dL여성: 12 ~ 16 g/dL혈색소는 빈혈 여부를 결정하는 가장 핵심 수치이므로, 기준 이하로 내려가면 빈혈을 의심해야 합니다.2. 헤마토.. 2025. 11. 19. 신장 기능 검사(BUN·크레아티닌) 정확한 해석법 건강검진 결과지에서 자주 보게 되는 BUN과 크레아티닌 수치는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하지만 이 두 수치가 의미하는 바와, 어떤 기준으로 정상·주의·위험을 구분해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11월 18일 기준 최신 검사 해석 기준을 바탕으로 BUN과 크레아티닌 수치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1. BUN(혈액요소질소)이란?BUN은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성되는 요소를 의미하며, 신장으로 배출되는 속도를 나타냅니다.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이 요소가 배출되지 못해 수치가 올라가게 됩니다.정상 수치: 8 ~ 23 mg/dL (2025년 기준)높은 경우: 탈수, 고단백 식단, 신부전, 위장관 출혈낮은 경우: 영양 부족, 간 기능 저하BUN은 신장 기능 외에도 식단, 탈수 여부에 따라.. 2025. 11. 19. 이전 1 2 다음